06. 비교연산자, 조건문(if, else) ✅ 동등연산자- =를 1개를 쓰는 것은 할당을 의미한다.- ==는 같은지를 의미한다. / != 는 다른가를 의미한다.- 항상 값은 불린형으로 나타난다.- ===는 type까지 비교한다 → 일치 연산자 ✅ 조건문 : 조건에 따라 이후 행동이 달라지게 만든다.1) if : 괄호 안에 들어가는 조건을 평가해서 true면 실행if(age > 19){console.log(’환영합니다’);} → 19보다 크면 {}가 실행된다. 2) else : if문이 false일 때 실행3) else if : if가 아닌 다른 조건이 true면 실행 ⁘ 실행 순서 : if → else if → else
Javascript
04. 형변환String() → 문자형으로 변환Number() → 숫자형으로 변환 // Number(null) → 0 , Number(undefined) → NaNBoolean() → 불린형으로 변환 // 숫자0, 빈문자열, null, undefined, NaN → false로 표시 이외의 값은 true// 앞에는 대문자로 써줘야함 - 자동 형변환은 의도치 않는 에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찾기 힘들기 때문에, 의도를 가지고 명시적 형변환을 해줘야 한다. 05. 기본연산자+ = * / %(나머지) **(거듭제곱)let num =10;num = num + 5;→ num += 5; ✅ 증가연산자(++), 감소연산자(--)- 어디에 위치하냐에 따라 값이 달라진다.let num = 10;let result = nu..
03. alert, prompt, confirm ✅ alert : 메세지 창을 띄우고 사용자가 확인을 누를 때까지 계속 떠있다.alert("Hello"); ✅ prompt : 사용자들에게 어떤 값을 입력 받을 때 사용함result = prompt(title, [default]);let age = prompt('나이를 입력해주세요.', 100);alert(`당신의 나이는 ${age}살 입니다.`); // 당신의 나이는 100살입니다.- default를 설정할 수 있으며, 2개의 인수를 받을 수 있다.(설명글, default값)- prompt로 입력 받은 값은 무조건 문자형이다. ✅ confirm : 확인 받을 때 사용하며, alert와 다른 점은 취소도 함께 있다.let isBoss = confirm("..
01. 변수name = "Mike";age = 30; - 문자열(string)은 항상 "" / '' 로 감싸줘야 한다.- 이미 js에서 사용하고 있는 단어는 변수로 사용할 수 없다. let : 이미 사용중인 변수를 에러로 알 수 있게 해준다. const : 절대로 바뀌지 않는 상수에 쓰인다. ex) 생일, 파이 등등 ✅ js에서 변수를 선언할 때 ( tip | 모든 값을 const로 선언하고 변경될 여지가 있는 것은 let으로 변경한다.)- 변하지 않는 값 → const - 변할 수 있는 값 → let ✅ 규칙1) 변수는 문자, 숫자, $, _만 사용한다.2) 첫글자는 숫자가 올 수 없다.3) 예약어는 사용할 수 없다.4) 가급적 상수는 대문자로 한다.5) 변수명은 읽기 쉽고 이해..